안녕하세요. 문아크입니다.
제가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을 떄 집에서 근무지까지의 거리가 무려 5km 였고, 버스도 환승을 하여 이용해야만 했습니다. 처음 두 달 정도는 버스를 이용하여 근무지까지 출•퇴근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불편한 점이 너무 많다고 느껴졌습니다.
또한 버스비 1250원(전주/버스카드 이용 시)을 기준으로 계산해보니 소집해제까지 교통비가 약 100만원이었습니다...
결국 돈도 아끼고 출•퇴근 시간도 줄이고 환승하는 불편함도 없애고자 전동킥보드 구매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1.전동킥보드 모델 설명

제가 구매하여 사용했던 제품은
AU테크 레드윙 블랙 36V 8Ah 8인치 모델 이었습니다.
이름이 너무 길어서 전동킥보드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이해하시기 어려울거라 생각해 모델명을 차근차근 풀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먼저 AU테크는 회사명이고 레드웡 블랙은 상품의 종류입니다. 레드윙시리즈는 저렴한 가격순으로 블랙 / 오리지널 / 맥스로 나누어지고, 맥스로 갈수록 최대주행가능거리가 늘어나고, 모터 출력 등이 좋아집니다. 36V 8Ah는 배터리 용량을 뜻한다고 보면 되는데, 전동킥보드를 타기 위해 전기에 대해 공부할 것은 아니기 때문에 단순히 숫자가 높아질수록 배터리 용량이 커진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8인치는 바퀴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AU테크 전동킥보드를 취급하는 매장이 전국에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A/S를 받기에 수월했습니다.
2.구매 후기
제가 구매한 킥보드의 최저가는 299,000원었습니다.
각종 할인쿠폰을 적용하면 26~28만원 선에서 구매가 가능합니다. 저는 인터넷에서 구매하려던 찰나 친구가 같은 제품을 중고로 판매하려 한다는 말에 지인찬스로 무려 15만원에 구매하였습니다.
중고가 아닌 새제품을 구매하시는 경우에는 소정의 사은품, 사용설명서, 미니공구 등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통 킥보드 구매 후기를 보면 3~4km 정도를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만 5~8km 정도를 왕복으로 이동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약 5km를 주행하는데 배터리 6칸중 2칸이 소모되었습니다. 저는 반년 정도 사용한 모델을 중고로 구매하였기 때문에 새제품을 구매하시면 주행가능거리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생각보다 킥보드가 무겁기 때문에 들고 이동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3. 실사용 후기
이제 구매한 킥보드를 직접 타본 후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킥보드를 사용하기 전 받침대를 젖히고, 전자 계기판의 전원버튼을 2초간 누르고 있으면 계기판이 켜집니다. 전자 계기판의 전원버튼을 짧게 누르시면 속력 단계를 조절할 수 있고, 다시 전원버튼을 2초간 길게 누르시면 전원을 끌 수 있습니다.
출발 시에는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판을 구르면서 전진 레버를 당겨야만 출발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집 주변에 상가가 많이 밀집해있었기 때문에 큰 길가로 킥보드를 끌고간 뒤 주행하였습니다. 제가 구매한 모델은 속력이 L1, L2, L3 3단계로 나누어져 있었는데, L3단계로 주행하였습니다. 맞바람을 맞으며 최고 속력으로 주행했을 시 체감상 자전거로 조금 빨리 달리는 정도? 까지 속력이 나왔습니다. 모터 출력이 제일 낮은 모델이라서 그런지 생각한 것 보다는 속력이 그리 빠르지 않았지만 출·퇴근을 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힘이 조금 딸려서 답답한 정도?
근무지까지 가는 길에 오르막길이 많아서 걱정이었는데, 경사가 너무 심하지만 않으면 주행하는데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습니다. 약 5km의 거리를 버스를 이용하여 가는 것 보다 15분 정도의 시간이 절약된 것 같습니다.
도로를 이용하여 주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것보다도 더욱 주변을 경계하면서 운행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전동킥보드가 도로로만 운행해야 한다는 것을 자동차 운전자들이 잘 모르기 때문에 킥보드 사용자에게 불만을 가지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4. 요약 정리
저는 전동킥보드 중에서도 나름 저렴한 킥보드를 구매하였는데, 왕복 15km미만의 거리를 출·퇴근하기에는 가성비가 좋은 제품이었던 것 같습니다. 출·퇴근 거리가 비교적 짧고 자동차를 이용하기에는 교통이 혼잡한 곳일 경우 전동킥보드 사용을 강력 추천합니다. 도로교통법상 차도를 이용하여 운행해야하는 만큼 안전에 유의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특히 버스정류장 부근에서는 버스가 갑자기 옆쪽으로 훅 들어오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해당 제품을 구매하시려는 경우 40만원 짜리를 추천드립니다.
30만원 짜리는 힘과 속도면에서 조금 답답함을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ㅎㅎ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자제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자전거] 전기자전거, 랑케레이시, G650K 모델, 내돈내산, 구매, 실사용 (1000km) 후기 (0) | 2022.05.23 |
---|
댓글